“AI와 함께하는 디지털 노마드의 경제적 자유 여정”

블로그의 주요 콘텐츠인 인공지능 활용법, 디지털 노마드 라이프스타일, 경제적 자유 달성에 대한 정보를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독자들에게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

AI Future Self Hacks/Business Hacks

현금흐름과 EBITDA의 차이: 매출이 나는데 왜 돈이 없을까?

DigitalFutureSelf 2025. 3. 24. 17:23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반응형

현금흐름과 EBITDA의 차이

📌 당신의 사업, 매출은 늘었는데 왜 계좌엔 돈이 없을까?

사업을 하다 보면 매출이 증가해도 계좌에 돈이 남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 현금흐름과 회계상 수익은 전혀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EBITDA는 흑자인데, 통장은 왜 텅텅 비었을까?"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현금흐름’과 ‘EBITDA’의 개념 차이에서 시작됩니다.


🔍 EBITDA란?

EBITDA는 기업이 본질적으로 얼마만큼의 현금 창출 능력을 갖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EBITDA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감가상각비는 실제 현금 유출이 없는 비현금성 비용입니다.
  • 따라서 EBITDA는 ‘회계적 수익성’을 보여주지만, ‘실제 현금 흐름’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현금흐름이란?

현금흐름은 말 그대로, 사업에서 실제로 오고 가는 현금의 흐름을 의미합니다.

📂 대표적인 현금흐름 항목

  1. 영업활동 현금흐름: 실제 매출 입금, 인건비 지출 등
  2. 투자활동 현금흐름: 설비투자, 자산 구매
  3. 재무활동 현금흐름: 대출, 자본금 증가, 배당 등

⚠️ 매출은 있지만 현금이 없는 이유

이유 설명
매출만 발생, 미수금 회수 안 됨 외상 거래 시 회계상 매출로 잡혀도 실제 현금은 나중에 들어옴
감가상각이 EBITDA에 포함 비용으로 처리되지만 현금 유출은 없음
과도한 재고 재고 구입으로 인해 현금 유출 발생
투자 지출 과다 설비나 비품 구매로 인해 계좌 잔고 감소
대출 원금 상환 회계상 비용이 아니지만 현금은 실제로 빠져나감

📊 예시로 보는 차이

항목 금액
매출 1억 원
영업이익 2,000만 원
감가상각비 1,000만 원
EBITDA 3,000만 원
실제 현금 유입 1,500만 원
실제 현금 유출 (급여, 임대료 등) 2,500만 원
순현금흐름 -1,000만 원

EBITDA는 양(+)인데도 실제 계좌 잔고는 감소(-)했습니다!


🧭 창업자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포인트

  1. EBITDA는 회계상 지표, 현금흐름은 경영의 현실
  2. 외상 매출 vs 현금 매출 → 현금 흐름 계획이 중요
  3. 비현금성 비용(감가상각 등)은 EBITDA에 포함돼 과대평가될 수 있음
  4. 계좌 잔고가 곧 기업의 생존력

📘 회계적으로 흑자, 현금흐름은 적자일 수 있는 상황

  • 📦 재고가 쌓여있을 때
  • 🏦 매출채권(외상 매출)이 회수되지 않을 때
  • 🛠️ 설비투자 비용이 집중됐을 때
  • 💸 이자 및 원금 상환이 많은 시기

✅ 결론: EBITDA만 보지 말고, 현금흐름도 꼭 챙기자!

구분 EBITDA 현금흐름
의미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 실제 현금 유입과 유출
장점 기업 가치 평가에 유용 경영 안정성 판단 가능
단점 현금 유출 반영 안 됨 수익성과는 다를 수 있음
중요도 투자자 관점 중요 경영자 관점 중요

매출만 보고 흑자라 생각했는데, 계좌는 마이너스였다면?
이제부터는 현금흐름표도 꼭 챙겨보세요!

 

반응형